삼성 뷰피니티 S8 이더넷포트 인식불가 해결 후기
서론
모니터 사용 중 간혹 이더넷 포트 혹은 USB 허브가 연결된 맥북에서 인식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했다. 모니터 출력은 정상이었다. 완전한 해결방법은 아니지만 해결된 사례가 있어 공유하고자 한다.
우선 내가 구입했던 제품은 아래와 같다.
삼성전자 제품설명페이지 (모델명: LS27D800UAKXKR)
모니터 사양 보기
#### 모니터 사양  #### 모니터 외부입력포트 모니터 외부입력포트 사양에 Ethernet (LAN) 과 USB Ports 가 보일 것이다. 저걸 사용하고자 했는데, 언제 발생하는지, 왜 발생하는지 재현은 불가능하지만 아무 이유 없이 간헐적으로 인식이 안되는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었다.
탐색
제품설명서에 따르면 OSD에서 USB-C 우선 기능 이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. 귀찮을까봐 찍어왔다.
고속 데이터 전송 선택 시 3440 x 1440 @ 100 Hz 사용이 불가능하지만, LAN과 USB가 3.0 속도로 작동한다고 한다. 나는 평소에 3008 x 1692 @ 60 Hz 로 두고 사용해왔는데, 사양보다 살짝 넘치게 사용하고 있었던 걸수도 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되던 이더넷 연결이 간혹 인식이 되지 않는 것은 이해할 수 없었다. 안 될거면 처음부터 안 되던가.
해결
이것저것 하다가 발견한 건데, 야매스럽게 충격요법을 한번 줘 봤다.
고속 데이터 전송 선택 시 3440 x 1440 @ 100 Hz 로 출력이 불가능하다고 하니까, 맥에서 이 모니터에 설정 가능한 최대 해상도인 3840 x 2160 @ 60 Hz 로 설정해보았다. 모니터가 몇 번 깜빡거리더니 화면이 출력됐다. 불안해서 다시 쓰던 3008 x 1692 @ 60 Hz 로 되돌렸다. 그리고 네트워크 설정을 보니 USB 10/100/1000 LAN 항목이 보인다. 충격요법이 효과가 있었던 모양이다.
결론
삼성 뷰피니티 S8 사용 시 이더넷포트 인식 불가능할 경우 지원 해상도보다 높였다가 낮춰보자.
P.S.
- 이 모니터 사양표 상엔 60Hz까지만 지원한다고 되어 있는데 설명서와 내용이 이렇게 다르면 사용자 입장에선 당황스럽다.
- 혹시나 이런 경우는 없다고 보는데 VMware Fusion 을 사용한다면 호스트(맥)으로 USB 허브와 이더넷 어댑터 연결을 하도록 설정했는지 확인해보자. 필자는 위 방법이 어느날 갑자기 안 먹히길래 원인을 찾아보니 이거였다.
- 모니터의 USB 허브와 이더넷 어댑터 사양은 다음과 같다.
- 매직 트랙패드는 빼고 보면 된다.
- 왜 USB 2.1 허브로 잡히는지 모르겠다. 난 트랙패드 충전 용으로 써서 해결 안 할란다.
- 제품 ID와 공급업체 ID로 칩셋 모델명을 알 수 있다. 예컨대 이더넷 칩셋은 리얼텍 RTL8153 이다. 필요하면 참고토록.